렘수면 장애의 종류와 증상, 원인, 예방 및 치료법

렘수면 장애는 렘수면 동안 근육의 긴장도가 증가되고 꿈과 관련된 과도한 움직임과 이상행동을 보이는 질환입니다.

나이가 많을수록, 남성일수록 흔하게 발생하며, 파킨슨병과 같은 다양한 신경계 퇴행성 질환과 연관성이 높습니다.

렘수면 장애는 자신이나 옆에서 자는 사람을 다치게 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합니다.

 

렘수면-장애-썸네일

 

렘수면 장애란?

렘수면 장애는 렘수면 동안 근육의 긴장도가 증가되고 꿈과 관련된 과도한 움직임과 이상행동을 보이는 질환입니다. 렘수면은 Rapid Eye Movement의 약자로, 수면 중에 안구 운동이 빠르게 일어나는 단계를 말합니다.

 

렘수면은 꿈을 꾸는 시기이며, 정상적으로는 근육의 긴장도가 감소되어 몸을 움직이지 못하게 됩니다. 그러나 렘수면 장애 환자는 이러한 근육의 긴장도 감소가 제대로 되지 않아 꿈에서 하는 행동을 현실에서 그대로 재현하게 됩니다.

이 때문에 자신이나 옆에서 자는 사람을 다치게 할 수 있습니다.

렘수면 장애의 증상

렘수면 장애 환자는 누군가와 대결을 벌이거나, 공격을 받고, 쫓기는 등의 불쾌하고 폭력적인 내용의 꿈을 꾸면서, 꿈의 내용을 행동화하여 침대에서 떨어져 다치거나, 함께 잠을 자는 파트너를 공격하여 다치게 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수면 관련 외상은 멍, 찰과상에서부터 드물게 골절, 뇌출혈까지 보고되었으며, 전체 환자의 79-96%가 경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렘수면 장애의 종류

렘수면 장애에는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습니다.

  • 렘수면 행동 장애 (REM sleep behavior disorder)
    렘수면 동안 근육의 긴장도가 증가되어 꿈과 관련된 과도한 움직임과 이상행동을 보이는 질환입니다. 나이가 많을수록, 남성일수록 흔하게 발생하며, 파킨슨병과 같은 다양한 신경계 퇴행성 질환과 연관성이 높습니다.
  • 비렘수면 행동 장애 (Non-REM sleep behavior disorder)
    비렘수면 동안 갑자기 몸부림치거나 소리를 내거나 일어나는 질환입니다. 주로 어린이에게서 발생하며, 성인에서는 스트레스나 약물 등에 의해 유발될 수 있습니다.
  • 렘수면 근육 마비 (REM sleep muscle paralysis)
    렘수면 동안 근육의 긴장도가 감소되어 몸을 움직일 수 없는 상태입니다. 정상적으로는 깨어난 후에 사라지지만, 때때로 깨어난 상태에서도 지속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환각이나 공포감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렘수면 장애의 진단

렘수면 장애를 진단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보호자 상담
    환자와 함께 자는 사람에게서 수면 중에 나타나는 이상한 행동이나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얻습니다. 또한 꿈의 내용이나 낮에 졸음이 있는지 등에 대해서도 물어봅니다.
  • 렘수면 장애의 자가진단
  1. 어젯밤에 꾼 꿈이 또렷하게 잘 기억난다.
  2. 수면 중에 갑자기 깨어나거나 각성 (정신이 번쩍 듬)을 자주 경험한다.
  3. 내 몸부림에 배우자가 깨는 것이 1주일에 4회 이상 지속 된다.
  • 수면 다원 검사 (Polysomnography, PSG)
    환자가 수면 검사실에서 하룻밤 자면서 뇌파, 안구 운동, 근전도, 코골이, 호흡 등 자는 동안의 다양한 정보를 기록하는 검사입니다. 이 검사를 통해 렘수면 동안 근육의 긴장도가 증가되고 꿈과 관련된 움직임이 나타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수면 무호흡증이나 기면증과 같은 다른 수면 장애와 구별할 수 있습니다.

렘수면 장애의 치료방법

렘수면 장애의 치료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약물 치료
    렘수면 장애 치료를 위해서는 중추 신경계를 억제하여 진정 작용하는 클로나제팜이 주로 사용됩니다. 혹은 졸피놀, 자리누리, 이스텔렐과 같은 수면제를 이용하기도 하지만 우울증을 동반하는 경우 항우울제를 통해서 치료를 진행하기도 합니다.
  • 수면 환경 개선
    수면 중에 과격한 행동으로 인해 자신이나 옆에서 자는 사람을 다치게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면 환경을 안전하게 만들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침대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침대 가장자리에 베개나 매트리스를 놓거나, 침실에 있는 날카로운 물건이나 유리창을 제거하거나 가린다거나, 문이나 창문을 잠그거나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마치며

렘수면 장애는 심각한 질환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적절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합니다. 만약 자신이나 주변인이 렘수면 장애의 증상을 보인다면 전문가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수면 습관과 수면 환경을 개선하여 건강한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노력합시다.

 

 

 

 

<함께 보면 좋은글>

 

수면장애의 증상과 진단 방법 | 자신의 수면 상태를 점검해보자

수면장애는 잠을 잘 못 자는 상태로, 건강에 큰 영향을 줍니다. 이 블로그에서는 수면장애의 원인과 증상, 치료법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립니다. 수면장애에 대해 궁금하거나 고민하는 분들은 꼭

todailytip.tistory.com